골밀도검사
인체 특정 부위의 뼈의 양을 골밀도 지표로 측정하고 정상인의 골밀도와 비교하여 뼈의 양이 얼마나 감소 또는 증가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. 골다공증 환자에서는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며, 50세 이상 여성과 70세 이상 남성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, 낙상사고 등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골밀도 검사를 권장합니다.

골밀도 검사의 원리
골밀도 검사 중 DXA(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)가 가장 널리 쓰이며, 인체의 수많은 뼈 중 골절이 흔히 발생 하는 요추(허리뼈)와 대퇴골(허벅지뼈) 부위의 골밀도를 주로 측정합니다. 두 부위 중 낮은 수치가 당신의 골밀도가 됩니다. 골밀도의 정도는 같은 인종, 같은 성(性)별의 젊은 사람의 평균 골밀도에서 위, 아래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T값으로 표시하며, T값이 -2.5 미만일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합니다.
골밀도 측정 대상 (대한골대사학회 권고)
- 폐경 및 6개월 이상 (나이, 폐경 유무와 상관없이)무월경인 여성
- 70세 이상 남성
- 골다공증성 골절이 있었던 경우
- 방사선 소견에서 척추골절이나 골다공증이 의심되는 경우
- 이차성 골다공증(특정 질환 또는 약물에 의한 골다공증)이 의심되는 경우
- 골다공증 위험인자(유전, 흡연, 저체중, 당뇨병, 류마티스 관절염, 갑상선 호르몬 과다 복용 등)가 있거나, 골소실이나 골다공증이 의심되는 경우
- 골다공증 치료 시작 전, 또는 골다공증 치료 후에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경우
골밀도 측정 금기대상
- 방사선 조사가 어려운 임신부
- 최근 CT검사, 핵의학검사 등 조영제 또는 방사선 동위원소 투여 검사를 받은 경우
- 검사시간 동안 검사대에 누워있는 것이 어려운 경우(심한 척추 변형 등)나 척추에 기계삽입술을 받은 경우